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93)
[금융IT] 기초적인 시스템 구조와 용어 정리 흔히 IT전공자라고 하면, 컴퓨터공학에 대한 지식만 중요할 것 같지만 실제로 회사 생활할 땐 업무 니즈(고객, 현업과 소통)를 위해 기본적인 용어들을 알아야 한다. 금융IT 종사자이면 금융업계 용어를, 유통IT 종사자이면 유통업계 용어를 어느정도 파악해야 하는 등. 이번엔 내가 종사하고 있는 금융IT의 기초적인 용어를 한 번 정리해보려 한다. 금융IT 시스템 구조 1. 계정계 (Core Banking) - 고객의 거래 데이터를 처리하는 핵심 시스템 우리는 은행에서 거래할 때, 통장 정보를 필수로 입력해야 한다. 이처럼 거래의 핵심요소인 통장을 계좌, 계정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러한 계정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모아 '계정계' 라고 한다. 한 사람 당 여러 계좌를 갖고 있기도 하고, 돌아가신 분의 계좌가 있을 수..
[Server] 펌웨어의 개념 (Feat. BIOS/UEFI) ㆍ펌웨어 (Firmware) 하드웨어의 기본적인 구동 및 제어를 담당하는 특수 용도의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라고는 하지만 보통 하드웨어 엔지니어가 도맡아 지원한다. Q1. 소프트웨어면 소프트웨어지, 헷갈리게 왜 펌웨어라고 칭할까? 일반적인 소프트웨어(OS, Application 등)는 RAM에서 구동된다. 펌웨어는 영구적인 명령어와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조 단계에서 ROM(혹은 PROM)에 기록된다. 즉, 내용이 날아가면 안되고 사용자가 특별한 프로그램이나 기계 도움없이는 수정이 불가능하다. 우리가 아는 소프트웨어와 확실한 차이가 있고 구분되어야 한다. Q2.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걸까? 서버는 서로 다른 역할이 있는 여러 장치들로 구성된다. 펌웨어는 이 장치들이 각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
[Server] 소프트웨어의 종류 및 동작 원리 / 운영체제, 커널, 프로세스와 스레드 ㆍ 소프트웨어 (SWㆍSoftware) - 하드웨어에서 구동되는 논리적인 무형물로, 사용자의 명령을 하드웨어에게 전달해주는 시스템 구성 요소 중 하나. 우리가 흔히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으로 사용하는 Windows도 하나의 소프트웨어다. 소프트웨어는 크게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분류된다. 하드웨어가 없으면 애초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없고, 소프트웨어가 없는 하드웨어는 빈 껍데기나 다름 없다. 서로 반대되는 개념보다는 각자 역할을 갖고 시스템을 이루는 상호 보완적 관계라고 보면 된다. 01. 시스템 소프트웨어 (System Software) - 시스템 구동에 필수로 요구되며,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해주는 소프트웨어. - 시스템이 구동된 후, 종료 전까지 실행된다. - ..
[Server] 하드웨어 구조와 동작 원리 (Mainboard, CPU, Memory) ㆍ 하드웨어 (HWㆍHardware) - 실체가 있는(시각적으로 보이면서도 만질 수 있는), 컴퓨터의 모든 물리적인 부품을 통틀어 의미한다. ※ 예를 들어, Windows를 사용하기 위한 노트북 혹은 Android/iOS 사용을 위한 스마트폰, 그 외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이 모두 하드웨어 IT 기업은 대고객 서비스를 위한 엔터프라이즈 급의 고성능 하드웨어를 주로 사용한다. 하드웨어는 메인보드,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01. 메인보드 (Mainboard / Motherboard) - 컴퓨터(서버) 내 모든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중심부 역할. - CPU, Memory, Disk, 기타 포트 및 확장 카드 등이 모두 케이블을 통해 메인보드에 연결된다. - CPU/Memor..
[Server] 데이터 센터(IDC), 기반 시설, 재해복구 내용 정리 1. Datacenter 란? IT 기업이 고객에게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무수히 많은 서버가 필요하다. 하나의 서비스를 하려면 하드웨어에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거기에 소프트웨어를 탑재시킨 뒤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연결시킨다. 데이터센터는 이런 하드웨어,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각종 케이블 등의 자원(혹은 장비)을 수용해주는 관리 시설을 의미한다. 직접 기업이 소유해서 운영하는 경우도 있고 타 기업 소유의 데이터센터에 위탁하여 운영하기도 한다. 요즘은 개발자가 매우 핫하지만, 그 개발자들도 서버가 있어야 개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한마디로, 대고객 서비스와 원활한 개발을 위한 하나의 기반이자 인프라이므로 이런 데이터센터는 요즘 필수적인 요소이다. ※ 쉽게 예를 들자면, 우리는 보통 노트북을 구매해서..
[Nutanix] HCI 개념 및 뉴타닉스 용어 정리 그동안 블로그에서 주로 다룬 VMware 서버가상화는 하드웨어에 OS 설치하듯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하는 방식이었다. 오늘은 HCI 솔루션을 다루는 Nutanix 벤더의 제품 개념을 한번 보려고 한다 !! 개인적으로 Nutanix를 별로 좋아하지는 않지만 굳이 작성하는 이유는, 최근에 지원해봐서 간단히 공부했던 김에ㅎㅎ; - HCI 란? HCI(Hyper Converged Infrastructure)는 쉽게 말해서, 하드웨어/스토리지/하이퍼바이저를 모두 통합으로 정의한 시스템이자 어플라이언스라고 할 수 있다. 한마디로 HCI 솔루션을 통해서 SW로 정의된 스토리지와 컴퓨팅 자원, 하이퍼바이저를 모두 제어할 수 있다. 클라우드도 그렇고 HCI도 그렇고 확실히 이제는 한가지만 다룰 수가 없는 시대인가 보다ㅠ H..
[NVIDIA] VMware 환경에 vGPU 구성 - (3) 필수 참고사항 지난 포스팅을 끝으로 VMware vSphere 환경에 vGPU 구성하는 방법을 마무리했다. 하지만 구축 도중이나 운영 과정에서 분명 특이사항이나 추가 궁금증이 생길 것이다. 내가 그랬기 때문에 ㅠㅋㅋㅋ 내가 겪은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 01. 라이센스 할당은 어떻게? 라이센스가 발급되면 제품 PAK (Product Activation Key) ID가 담긴 PDF를 받을 수 있다. 또한, NOTICE 내용이 PDF에 함께 첨부되어 오는데 사진처럼 활성화 가능한 링크가 푸른색으로 적혀있다. vGPU Entitlement가 이미 있는지, 혹은 새로 생성하는지 각 링크를 환경에 맞게 클릭하면 알맞는 페이지로 넘어가고 PAK ID가 자동으로 추가되어 있다. * GPU 라이센스 적용이 제대로 안됐다면, 적용된 V..
[NVIDIA] VMware 환경에 vGPU 구성 - (2) ESXi 호스트 드라이버 설치 및 vGPU 적용 1년 전에 작성했던 NVIDIA vGPU 구성 포스팅을 이제야 이어서 쓴다ㅠㅠ 따로 문서에 정리해놔서 포스팅을 미루다가 이제야 쓰는...ㅋㅋ; https://smallrich.tistory.com/44 [NVIDIA] VMware 환경에 vGPU 구성 - (1) License Manager Server 생성 Virtual GPU란 VDI 환경에 GPU 성능을 제공해주는 그래픽 솔루션이다. RDM 디스크를 패스스루로 사용가능 하듯이 GPU 역시 한 VM에 패스스루로 쓸 수 있다. 하지만, 여러 VM에 GRID로 할당할 수 있는 NVIDIA smallrich.tistory.com 위에 링크의 라이센스 관리 서버가 구축된 이후의 단계라고 보면 된다! * 해당 포스팅은 vSphere 6.7 U3에 NVID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