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oud

(22)
[Server] 펌웨어의 개념 (Feat. BIOS/UEFI) ㆍ펌웨어 (Firmware) 하드웨어의 기본적인 구동 및 제어를 담당하는 특수 용도의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라고는 하지만 보통 하드웨어 엔지니어가 도맡아 지원한다. Q1. 소프트웨어면 소프트웨어지, 헷갈리게 왜 펌웨어라고 칭할까? 일반적인 소프트웨어(OS, Application 등)는 RAM에서 구동된다. 펌웨어는 영구적인 명령어와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조 단계에서 ROM(혹은 PROM)에 기록된다. 즉, 내용이 날아가면 안되고 사용자가 특별한 프로그램이나 기계 도움없이는 수정이 불가능하다. 우리가 아는 소프트웨어와 확실한 차이가 있고 구분되어야 한다. Q2.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걸까? 서버는 서로 다른 역할이 있는 여러 장치들로 구성된다. 펌웨어는 이 장치들이 각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
[Server] 소프트웨어의 종류 및 동작 원리 / 운영체제, 커널, 프로세스와 스레드 ㆍ 소프트웨어 (SWㆍSoftware) - 하드웨어에서 구동되는 논리적인 무형물로, 사용자의 명령을 하드웨어에게 전달해주는 시스템 구성 요소 중 하나. 우리가 흔히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으로 사용하는 Windows도 하나의 소프트웨어다. 소프트웨어는 크게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분류된다. 하드웨어가 없으면 애초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없고, 소프트웨어가 없는 하드웨어는 빈 껍데기나 다름 없다. 서로 반대되는 개념보다는 각자 역할을 갖고 시스템을 이루는 상호 보완적 관계라고 보면 된다. 01. 시스템 소프트웨어 (System Software) - 시스템 구동에 필수로 요구되며,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해주는 소프트웨어. - 시스템이 구동된 후, 종료 전까지 실행된다. - ..
[Server] 하드웨어 구조와 동작 원리 (Mainboard, CPU, Memory) ㆍ 하드웨어 (HWㆍHardware) - 실체가 있는(시각적으로 보이면서도 만질 수 있는), 컴퓨터의 모든 물리적인 부품을 통틀어 의미한다. ※ 예를 들어, Windows를 사용하기 위한 노트북 혹은 Android/iOS 사용을 위한 스마트폰, 그 외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이 모두 하드웨어 IT 기업은 대고객 서비스를 위한 엔터프라이즈 급의 고성능 하드웨어를 주로 사용한다. 하드웨어는 메인보드,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01. 메인보드 (Mainboard / Motherboard) - 컴퓨터(서버) 내 모든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중심부 역할. - CPU, Memory, Disk, 기타 포트 및 확장 카드 등이 모두 케이블을 통해 메인보드에 연결된다. - CPU/Memor..
[Server] 데이터 센터(IDC), 기반 시설, 재해복구 내용 정리 1. Datacenter 란? IT 기업이 고객에게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무수히 많은 서버가 필요하다. 하나의 서비스를 하려면 하드웨어에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거기에 소프트웨어를 탑재시킨 뒤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연결시킨다. 데이터센터는 이런 하드웨어,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각종 케이블 등의 자원(혹은 장비)을 수용해주는 관리 시설을 의미한다. 직접 기업이 소유해서 운영하는 경우도 있고 타 기업 소유의 데이터센터에 위탁하여 운영하기도 한다. 요즘은 개발자가 매우 핫하지만, 그 개발자들도 서버가 있어야 개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한마디로, 대고객 서비스와 원활한 개발을 위한 하나의 기반이자 인프라이므로 이런 데이터센터는 요즘 필수적인 요소이다. ※ 쉽게 예를 들자면, 우리는 보통 노트북을 구매해서..
[Amazon] AWS 기본 용어 맛보기 내가 클라우드 엔지니어는 아니지만, 최근에 읽은 책으로 공부한 AWS 기본 용어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국내 실무에서도 이렇게 지칭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공부한게 아까워서 포스팅 하기로! 서비스는 너무 많아서 아직 제대로 정리하지 못했다ㅠ * 클라우드 개념 포스팅 https://smallrich.tistory.com/70 [Cloud]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념·종류·서비스 ˙ 클라우드 (Cloud)란? 사용자가 컴퓨팅 자원(PC·하드웨어·소프트웨어 등)을 직접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닌, 빌려서 사용하는 개념. 이전에는 단순 컴퓨팅 자원에 대해 '클라우드 컴퓨팅'이라 smallrich.tistory.com AWS란? AWS = Amazon Web Services 아마존 벤더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
[Cloud]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념·종류·서비스 ˙ 클라우드 (Cloud)란? 사용자가 컴퓨팅 자원(PC·하드웨어·소프트웨어 등)을 직접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닌, 빌려서 사용하는 개념. 이전에는 단순 컴퓨팅 자원에 대해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용어를 썼지만, 점차 ICT 전체를 아우르기 시작하면서 '클라우드 서비스'라는 개념으로 발전했다. 대표적인 예시로, 네이버 MYBOX(구 N드라이브)를 떠올리면 된다. MYBOX를 통해, USB·외장하드처럼 별도의 물리적인 장비 구입없이도 개인의 데이터를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일상 속에서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 자원을 빌려쓰고 있던 것이다. 용량이 부족하면 비용을 지불해서 확장할 수도 있다. 이런 클라우드 서비스는 개인의 저장공간 뿐만 아니라 기업의 서비스에도 활용되고 있다. ˙ DT (Digital ..